호주 식품 사업자 필독: 샐러드, 밀키트 GST 부과 'Prepared Meal' 최신 ATO 분류 기준과 대응 전략

이미지
📢 [세무 경고] 호주 GST: '준비된 식사(Prepared Meal)' 분류 기준 대폭 강화, 사업자 대응 전략 (GSTD 2025/1 분석) 요즘 한국 식품점에 가보면 한국에서 흔히 밀키트(Meal Kit), 간편식 또는 HMR(Home Meal Replacement, 가정간편식)이라고 부르는 제품들이 많이 보입니다. 호주에서 식품(Food)은 GST 면제(GST-free) 대상인 경우가 많지만, 이들 제품이 GST 면제일지, 아니면 GST 과세 대상일지는 호주 국세청(ATO)의 기준에 따라 달라집니다. 호주 국세청(ATO)은 GST(Goods and Services Tax) 과세 대상인 '준비된 식사(food marketed as a prepared meal)'의 정의에 대한 중요한 해석을 담은 최종 결정문(GSTD 2025/1)을 발표했습니다. 이 결정문은 연방 법원의 Simplot Australia Pty Limited v Commissioner of Taxation [2023] FCA 1115 (Simplot 판례) 이후 후속 조치로, GST 분류의 복잡성을 해결하기 위한 구체적인 지침과 4단계 방법론 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특히 냉동식품, 샐러드, 밀키트 등을 취급하는 사업체는 GST 분류 기준을 즉시 재검토해야 하며, GSTD 2025/1 과 함께 상세 식품 목록 (Detailed Food List, DFL) 의 업데이트 내용도 함께 고려해야 합니다. I. '준비된 식사'(Prepared Meal)의 핵심 기준 및 한국 간편식과의 구분 GST법(A New Tax System (Goods and Services Tax) Act 1999, Schedule 1 , table item 4)에 따라 '준비된 식사 (Prepared Meal)'로 분류되어 GST 과세 대상이 되기 위해서는 해당 식품의 종류(of a kind)가 '상식과 일반적인 경험(common sense and co...

호주 상업용 부동산: 임대 vs 매입, 세금 전문가가 추천하는 최적의 구조 (SMSF & CGT 전략 포함)

이미지
호주 사업용 부동산: 임대(Renting) vs. 매입(Buying), 어떤 선택을 해야 할까? Renting vs Buying Commercial Property in Australia 성장단계별 전략 + 세금까지 고려한 실전 가이드 1️⃣ 왜 이 고민이 중요한가 호주에서 사업을 하다 보면 언젠가 반드시 마주할 중대한 결정 이 있습니다. “지금 쓰는 사무실(혹은 매장·창고), 계속 임대해야 할까? 아니면 사버릴까?” 🤔 이 단순한 질문 뒤에는 현금흐름, 차입여력, 성장계획, 세금전략, 노후준비 까지 맞물린 복잡한 계산이 숨어 있습니다. 특히, 한 번의 결정이 10년 이상의 재무구조와 세금 흐름 을 바꾸기 때문에, 감정이 아닌 치밀한 전략적 분석 으로 접근해야 합니다. 2️⃣ 임대(Leasing): 민첩성과 유연성이 필요한 시기 ✅ 장점 유연성 (Flexibility) — 사업이 커지거나 고객 동선이 달라져도 쉽게 이동 가능. 낮은 초기비용 (Lower Upfront Cost) — 보증금 외 큰 자금이 필요 없어, 자본을 인력·재고·마케팅에 재투자 가능. 예상 가능한 유지비 — 대규모 수리·교체는 대부분 임대인 책임. ⚠️ 단점 임대료 상승 — 매년 CPI나 시장가 조정으로 비용 압박. 자산 축적 불가 — 임대료는 자산 축적이 아닌 단순 비용 으로 지출됩니다. 공간 제약 — 리노베이션, 간판, 구조 변경 등은 임대인 승인 필요. 💡 언제 임대가 유리한가: 스타트업·성장기 (확장성 중요) 현금이 사업 운영자금으로 더 큰 수익 을 낼 때 시장 변화에 빠르게 대응해야 할 때 3️⃣ 매입(Ownership): 안정성과 자산성장을 노릴 때 ✅ 장점 자산형성 (Asset Growth) — 대출상환 + 시세상승으로 장기 자산 축적 가능. 안정성 (Stability) — 임대인 리스크(계약만료, 매각 등) 제거. 부가수익 (Extra Income) — 일부 공간을 임대해 수익 창출 가능. 세무 전략 (Tax Strategy) — 구조 설계에 따라 세금...

한국내 사업자의 호주 아마존 FBA 진출, 꼭 알아야 할 세금 규정

이미지
한국 거주  아마존 FBA 셀러를 위한 세금 가이드 최근 한국 사업자들의 아마존을 통한 호주 시장 진출이 증가하며 , 세금 문제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습니다 . IMF 에 따르면 호주는 2025 년에도 약 2.2% 의 GDP 성장이 전망되며 , 구매력 기준 (PPP) 으로 세계 6 위 규모의 잠재 시장입니다 . 많은 분들이 미국을 우선 고려하지만 , 이미 미국 진출에 성공하신 아마존 셀러라면 호주 시장도 충분히 고려할 만합니다 . 호주는 높은 인건비 , 부동산 ( 창고 ) 비용 , 물류비용 등이 부담이지만 , 아마존을 통한 FBA 모델은 현지 법인 설립이나 물리적 사무소 운영보다 상대적으로 효율적일 수 있습니다 . 다만 , 한국과 다른 호주의 세법 구조를 이해하는 것은 성공적인 진출의 핵심입니다 . 이 가이드는 아마존 FBA 사업을 위한 호주 세금 의무를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 실질적인 해법을 제시합니다 . 1. 핵심 요약 : 세무 현황 및 주요 실행 항목 대상 : 본 가이드는 한국에 소재한 비거주 사업자가 호주에서 아마존 FBA 를 통해 판매하는 경우를 중점적으로 다룹니다 . GST 등록 선택 : Simplified GST 와 Standard GST 중 어떤 등록 유형을 선택할지는 판매 방식 , 즉 FBA(Fulfillment by Amazon) 와 FBM(Fulfillment by Merchant) 중 어느 것을 택하느냐에 따라 달라집니다 . FBM (Fulfillment by Merchant) : 판매자가 한국 내에 재고를 보관하고 , 아마존을 통해 주문을 받은 후 고객에게 상품을 직접 배송합니다 . 이 경우 제품 가격이 1,000 불 미만인 저가 수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