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의 게시물 표시

의사·치과의사를 위한 '세금 함정' 완전 정복 – 법인 설립과 소득 분할, ATO 규정 핵심 정리

이미지
  [의료 전문직을 위한 세금 가이드] – 법인 설립, 소득 분할, GST 처리에 대한 ATO의 기준 호주에서 활동 중인 의사 및 기타 의료 종사자들을 위한 회계·세무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많은 의료 전문가 고객들로부터 세금과 관련된 유사한 질문을 자주 받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특히 의사분들이 흔히 범할 수 있는 실수들에 대해 ATO(호주 국세청)의 공식 해석을 바탕으로 상세히 설명드립니다. ✅ 의료 전문직도 법인 설립을 통해 절세할 수 있을까? 간단히 말씀드리면, 대부분의 경우 불가능합니다. ATO의 세무 해석서 IT 2503 에 따르면, 법인 설립(Incorporation)은 상업적으로 정당한 이유가 있어야 하며, 오로지 세금 감면이나 소득 분산을 목적으로 할 경우 인정되지 않습니다. 이는 '개인 서비스 소득(Personal Services Income, PSI)' 규칙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습니다. 즉, 일반적인 의료 법인은 법인 이익을 원장(의료 전문직 개인)에게 급여 형태로 전부 지급해야 하며, 이에 따라 법인 자체는 과세소득이 없고 원장 개인이 소득세를 납부해야 합니다. 결과적으로, 소득세 절감 효과는 없습니다. ✅ 단, ‘비즈니스 구조(Business Structure)’에 해당하는 경우 예외가 있다? 맞습니다. 개인의 기술과 판단력에 의존하지 않고, 조직적으로 수익을 창출하는 구조라면 일반 기업처럼 법인세를 납부하고 소득 분산도 가능할 수 있습니다. 이는 PSI 규칙이 적용되지 않는 경우에 해당합니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요소들이 있는 경우 ‘비즈니스 구조’로 간주될 수 있습니다 ( IT 2639  참고): 의료 서비스를 넘어서는 조직적 운영 소득 창출 자산의 보유 (예: 고가의 의료 장비) 복수의 직원 및 계약직 인력 고용 수석 의료진 외 다른 의료진과의 비율이 높은 경우 실질적 이익의 원천이 의료진의 개인 서비스가 아닌 시스템/브랜드/시설 등에 있는 경우 이러한 구조라면, 일부 지분을 배우자나 가족에게 이전(‘에버렛 지분 ...

호주 부동산 매매 시 세금 폭탄 피하려면? ATO가 밝힌 CGT vs 사업소득 구분법

이미지
🏡 호주에서 토지 판매 시 세금은 어떻게 적용될까 ? – ATO 실전 사례 7 가지로 보는 케이스 스터디 호주에서 부동산 투자, 자산 증식의 기회일까요, 아니면 예상치 못한 세금 폭탄의 위험일까요? 많은 분들이 부동산 매각 시 단순히 양도소득세(CGT)만 고려하시지만, 사실 호주 국세청(ATO)은 매각 이익의 성격에 따라 Income Tax(소득세), GST(부가가치세), 심지어 CGT (양도소득세)까지 다양한 세금을 적용 하고 있습니다. 단순히 "얼마에 사서 얼마에 팔았다"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해당 부동산 거래가 단순한 자산 처분인지, 일회성 수익 활동인지, 아니면 사업 활동의 일환인지 에 따라 세금 부담이 천차만별로 달라질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특히 호주에서 활동하시는 한국인 사업가 및 투자자분들에게는 이러한 ATO의 판단 기준이 더욱 중요합니다. 잘못된 이해는 막대한 추가 세금으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ATO는 이러한 혼란을 줄이고 명확한 가이드라인을 제공하기 위해 7가지 실제 사례를 공개했습니다. 저희 BYRONS는 한국 기업가와 투자자분들이 호주 부동산 시장에서 성공적으로 자리매김하실 수 있도록 돕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ATO가 제시한 핵심 사례들을 바탕으로, 여러분의 부동산 거래가 어떤 세금 규정에 해당하며 어떻게 대비해야 하는지 핵심 포인트를 쉽고 명확하게 정리 해 드립니다. 지금부터 각 사례를 통해 예상치 못한 세금 리스크를 줄이고 현명한 투자 전략을 세우는 방법을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사례 1: 장기 보유 목적으로 취득한 토지의 매각 2015 년 , ABC Pty Ltd ( 신탁 법인 ) 는 XYZ Discretionary Trust ( 신탁 ) 를 위해 주거용으로 구획된 10 헥타르의 공터를 $290,000 에 매입하였습니다 . 이 토지는 단순히 장기적인 자본 성장 (capital growth) 을 목적으로 보유된 것으로 ,...